퇴근길의 전철에는 자리가 없다. 서서 자리가 날 때 까지 기다려야 한다. 에어컨 바람에 시원하지만 그래도 한 시간 이상을 서서 가는 것은 고단하다.
전철을 타자마자 재빨리 객차 안을 스캔해보지만 역시 자리는 없다. 그렇다면 누가 먼저 내릴지 눈치 봐서 그  사람 앞에 서 있는 것이 좋다. 서울 벗어나기 전에 내리는 사람이 있는 반면, 양수리를 지나 양평까지도 가는 장거리 승객도 섞여있으므로 이들을 구별해내는 것은 편안한 퇴근길의 핵심이다.
어떻게 구별해낼까? 옷차림으로는 알 수 없다. 소지품과 핸드폰 사용행태로도 구별이 힘들다. 이럴 때엔 종아리를 보면 알 수 있다. 종아리에 모기 물린 자국이 많은 사람. 이들을 피해야 한다. 내 다리와 같은 유형의 사람은 시골에 살 가능성이 높다. 반면 아파트와 도시 내에 사는 사람들은 희고 깨끗한 종아리를 갖고 있다. 이런 사람들을 찾아 그 앞에 서있으면 얼마안가 자리가 날 확률이 높다. 두 번째 여름을 나면서 터득한 방법이다.

 

여름의 시골은 곤충의 천국이다. 이놈들은 가리는 곳도 없고 크기와 힘에 있어 도시의 것들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우리 집의 여름 군식구들을 소개해볼까 한다.

 

우선 모기

방충망을 치고 모기향을 피워도 늠름히 집안을 장악한다. 시골의 모기는 검은 얼룩 띠와 무시무시한 침을 갖고 있는 산모기라 서너 군데를 한꺼번에 물릴 경우 오한과 발열, 두통을 선물한다. 물린지 사나흘 지나면서부터 고름이 차기 시작해 한 달 가량 가려움증과 진물로 고생하게 한다. 일주일쯤 지나면서부터 물린 부위가 검게 변하여 여름이 끝나갈 무렵엔 종아리와 팔뚝은 얼룩덜룩해진다.
간혹 축사로부터 날아온 쇠파리도 집안에 들어오는데 작년에 TV보다 발바닥을 쏘였을 때엔 기절할 만큼 아프고 가려웠다. 뇌가 멈춰버려, 일주일가량은 무언가에 대해 차분히 생각을 한다는 것이 불가능했다.     

 

하루살이와 이름 모를 날벌레들

이름을 모르기에 일일이 열거할 수는 없으나, 대략 십 여종의 날벌레가 대략 3,4백마리 부엌에 산다. 저녁에 형광등을 켜놓고 설거지를 하고 나면 벽과 천장의 흰 벽지 위에 까맣게 붙어있다. 처음엔 약도 뿌려보고 향도 피워보고 했으나, 이젠 그냥 내버려둔다. 수명이 짧아 다음날 아침에 가보면 대부분 죽어 바닥에 떨어져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며칠 동안은 잠잠하다.
음식을 하는 동안 아주 가끔은 종아리 피부에 붙어있는데 그러고 나면 아주 작은 모기자국 같은 것이 생기는 것으로 봐서, 사람의 피부를 무는 것은 모기만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

 

 

거미

날아다니는 것이 많아서인지, 거미도 많다. 콩알만 한 거미부터 손바닥만 한 대형거미까지 벽 모서리마다 잔뜩 거미줄을 쳐 놓는다. 이른 아침 현관문을 열고 마당을 가로질러 가는 길은 밤새 거미가 쳐 놓은 거미줄의 정글을 빠져나가는 것과 같다.
신기한 것은 새로 지은 거미줄일수록 탱탱하고 신선하다는 것이다. 아침햇살에 은색으로 반짝이며 손으로 만져도 끈적이지 않을 만큼 매끈하다. 손끝으로 살짝 튕기면 ‘덩~’하는 소리가 날 것 같다. 힘 좋은 큰 거미는 마당과 이쪽과 저쪽을 가로지르는 집을 지어놓기도 하는데 그 크기가 어마어마해서 감탄스러울 정도이다.

 

10 거미.jpg

이층의 주인아주머니는 거미줄을 보는 족족 빗자루로 뜯어버리지만, 나는 절대 뜯지 않는다. 거미줄에 잔뜩 걸린 모기와 날벌레를 보면 거미가 고마울 뿐이다. 그래서 집안의 거미줄도 건드리지 않고 놔두는 편인데 보기는 좋지 않다. 집안에도 거미가 많아 TV를 보고 있으면 꽤 큰 놈이 천정에서부터 내려와 눈앞에서 흔들흔들 할 때도 있다.
세어보지는 않았으나 집안에서 우리와 같이 기거하는 거미의 숫자는 대략 30여 마리로 추정된다.
 

풍뎅이와 귀뚜라미, 그리고 나방

밤에 불을 끄고 누우면 집안은 일순간 소란스러워진다. 형광등이 꺼지면 깜짝 놀란 풍뎅이와 나방이 불빛을 찾아 요란을 떨며 날아다니기 때문이다. 이놈들의 특징은 시끄럽다는 것이다.
그러면 집안에서 같이 사는 고양이들의 뜀박질이 시작된다. 벌레를 잡기위해 푸다닥거리며 온 집안을 뛰어다닌다.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면 마룻바닥에는 여지없이 나방을 비롯한 무엇인지 알기 힘든 벌레들의 잔해가 흩어져 있다. 제일 보기 싫은 것은 귀뚜라미의 잔해이다.
여러 번 산채로 잡아 창밖으로 내보내 주지만, 고양이들에게 잡히는 것들이 더 많다.

청개구리
신기한 일이다. 봄부터 여름까지 부엌에 꾸준히 들어오는 청개구리들. 도대체 어떻게 들어오는지 아직도 모르겠다. 들어와서 싱크대 위의 양푼이에 떡~하니 올라앉아있거나 쌀독 항아리 뚜껑에 앉아있다. 아침마다 부엌에서의 첫 번째 하는 일은 개구리를 잡아서 창밖으로 내보내는 일이다. 그러나 다음날이면 어김없이 똑같은 자리에 앉아 있다. 동화에 나온 개구리 왕자도 아니고, 도대체 어디로 들어오는지. 말이 통한다면 꼭 묻고 싶다.
그리고 가끔은 청개구리 대신 맹꽁이(?)처럼 생긴 커다란 떡두꺼비가 부엌뒷문 방충망 밖에 앉아 부엌 안을 들여다보고 있을 때도 있다. 우리 집 부엌에 뭔가 특별한 게 있는 건지. 그래도 청개구리는 우리 집에 들어오는 것들 중에 가장 점잖고 의젓하여 좋아하는 편이다.

 

 

반딧불이

밤에 산책 나가면 집 앞 길가에서 볼 수 있다. 올해는 비가 많이 와서인지 작년보다는 보기 힘들다. 길 옆 으로 개울이 나 있는데 그 개울가 뽕나무 근처나 피마자 나무 덤불주변에서 볼 수 있다. 시골의 날아다니는 곤충 중에서 가장 귀하고 신기한 벌레들이다. 작고 수줍은 푸른 불빛을 보면 매번 감탄을 하게 된다.

 

 

방아깨비, 여치, 사마귀, 자벌레

집안 보다는 마당의 풀밭에 바글바글 거리며 살고 있다. 잔디마당을 가로질러 가면 2,30마리의 방아깨비를 볼 수 있는데 사람 발자국소리에 놀라서 이리저리 풀쩍거리며 뛰는 모양을 보고 있으면 발밑이 어지러워 걸음을 떼기가 힘들다.

 

10 방아깨비.jpg

마당에 빨랫대를 놓고 빨래를 널고 있노라면 방아깨비와 여치 등이 빨래 위에 앉아 있기도 하다. 처음엔 속옷 등에 벌레가 앉아 있으니 꺼림칙하였으나 이제는 그러려니 한다. 대신 빨래를 갤 때  조심해야 한다. 소맷단 같은 곳에 이러저러한 벌레가 붙어 옷장 서랍 안으로 같이 들어가게 되면 곤란하기 때문이다.
반면 사마귀는 주로 신발장의 우산에 붙어산다. 우산 손잡이에 앉아 있다가 비 오는 날 우산을 꺼내려고 하면 무척 귀찮은 듯 천천히 비켜나준다. 마당의 다른 벌레들이 녹색인 것에 반해 사마귀는 색도 검붉고 크기도 커서 좀 징그러운 구석도 있으나 움직임이 느려 구경하는 재미가 있기도 하다.

 

 

옆집이 꿀벌을 친다. 그 집 마당과 뒷산까지 해서 벌통이 서른 개 가량 되는 모양인데, 그렇다 보니, 자연히 집 주위에 벌이 많다. 원래 벌을 별로 안 무서워해서 상관없지만, 집안으로 들어오거나 하면 아무래도 신경이 쓰이긴 하다. 지난겨울에 먹다버린 몇 가지 채소의 씨가 땅에서 싹을 틔워 지금 부엌 뒷문밖에는 참외와 수세미, 호박 등이 넝쿨로 자라고 있다. 여름 내내 노란색 꽃을 피워대니 당연히 꿀벌도 모여들었다. 그래서 부엌 뒷문 밖은 항상 꿀벌들이 윙윙대는 소리로 요란하였다. 노란 수세미 꽃에 동골동골 꿀벌이 앉아서 부지런떠는 모습을 보는 것이 여름 내내 재미였다.
반면 말벌은 귀엽지도, 재미있지도 않는 존재이다. 건물 벽과 지붕 처마 밑, 마당의 싸리나무 사이 등등에 수시로 벌집을 지어놓고 떼로 모여 산다. 꿀벌에 비해 크기도 크고 발도 흉측하게 길어 날아다니는 것을 보면 음흉한 느낌이 드는데 말벌에 대한 편견도 한 몫 하는 것 같다.

 

10 말벌집.jpg

지난번에는 추석을 앞두고 마당의 나무와 화초들을 대거 가지치기 하면서 나무에 붙어있던 말벌 집을 빗자루로 떼어 버렸다. 벌집의 크기도 작고 말벌도 몇 마리 안 되 길래 그냥 툭 쳐서 떼어 버렸다. 그러고 내쳐 주변 가지를 정리하는데 말벌에 두 번이나 쏘인 것이다. 처음 쏘인 것이라 병원을 갈까말까 했는데 다행히 멀쩡했다. 오히려 그날 모기에 물린 곳이 더 붓고 곪아버렸다. 말벌보다 모기의 침이 더 독할 수도 있나보다. 

 

그럭저럭 별 일 없이 잘 살고 있다

그 외 나비와 잠자리, 매미 그리고 기타 등등, 이런저런 벌레들과 한동네서 살고 있다. 원래 이름도 모르는 벌레라서 봐도 눈에 딱히 들어오지는 않는 많은 곤충들과 함께. 그리고 아파트등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이름을 말하기도 싫은 해충들까지.
처음에 이사 와서 옆집 아주머니에게 ‘벌레가 많아요?’하고 물었더니 많다고 답해주셨다. ‘어쩔 수 없어, 시골은.’이라는 설명과 함께.
작년에 워낙 벌레 때문에 고생한지라, 올해 여름을 맞아 새롭게 조치를 취했다. 우선 방충망을 스텐레스 방충망으로 바꿨다. 값이 일반방충망에 비해 두 배로 비싸지만 큰맘 먹고 투자하였다. 그리고 모기퇴치 액을 사서 고무장갑 끼고 방충망에 덕지덕지 발랐다. 술에 약한 나는 그날 밤에 약 냄새에 취해 머리가 아플 정도였다. 그것도 모자라 건물 외벽에도 퇴치 액을 뿌려두었고 창 아래 화단에도 잔뜩 뿌려주었다. 그 덕분인지, 아니면 올해 비가 많이 와서 곤충번식에 애로점이 있었는지 아무튼 올해 여름을 무탈히 나고 있다. 여전히 벌레는 왕성하지만 그래도 노래가사처럼 ‘별 일 없이 잘 살고 있다’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여긴 시골이고, 여름엔 곤충의 세상으로 변하는 것을 어찌 하겠는가.
참아내고 살아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