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12일,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 (Dhaka) 인근 치타공 (Chittagong) 지역의  수출 가공 지구 (Export Processing Zone)에서 의류노동자들의 집회가 벌어졌다. 경찰은 평화적으로 진행되던 집회를 강제 해산시키려고 고무탄과 실탄, 최루 가스 등을 발포했다. 네 명이 숨지고 250명 이상이 다쳤다. 이는 해외에서 발생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언론에서 이례적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그 이유는 노동자들의 투쟁이 ‘영원무역’이라는 한국 의류회사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국내 주요 보수 언론들은 경찰의 과잉진압이 불러온 물리적 충돌은 무시한 채 시위의 폭력성에 초점을 맞춘 방송화면을 보여주었다. 또한 영원무역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기업이 외부세력의 선동에 휩쓸린 노동 쟁의의 피해자인 양 보도했다. 정작 이러한 사건이 왜 발생했는지에 대한 보도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7_해외이슈_사진1.jpg

       인상된 최저임금의 적용을 요구하며 행진하는 의류노동자 (출처:EPA)

 

? 방글라데시 의류산업과 의류노동자

방글라데시는 중국, 베트남에 이어 전 세계에서 세 번째 규모의 의류수출 국가이다. 의류산업은 방글라데시 전체 수출액의 80%를 차지하는 주요 업종으로, 연간 수출액은 120억 달러가 넘는다. 방글라데시 전역 약 4천 개의 의류공장에서 약 350만 명의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고객은 미국과 유럽의 의류 업체들이다. 월마트, 테스코, 까르푸, H&M, 자라, 갭, 막스 앤 스펜서, 리바이스 등 한국에서도 유명한 브랜드 기성복을 생산하고 있다. 사건이 발생한 치타공 지역에는 160여 개 공장에서 약 15만 명의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

치타공 지역에 입주한 70여 개의 외국 기업들 중 하나인 영원무역은 방글라데시 전체 의류 수출의 약 5%를 차지할 만큼 규모가 큰 의류수출업체들 중 하나다. 방글라데시 전역에 17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데, 그 중 11개의 공장이 치타공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영원무역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약 3만 6천 명으로 노스페이스, 나이키 등의 제품을 OEM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섬유의류산업이 저임금을 좇아 저개발 국가에서 상품을 생산하게 된 것은 이미 오래전에 시작된 일이다. 한국에서도 1960년대부터 저임금 노동력을 바탕으로 OEM 방식의 수출 주도형 의류 산업이 호황을 누렸는데, 1980년대 이후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국내 의류업체들의 해외 공장 이전이 시작되었다.

의류업체들이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을 거쳐 방글라데시 같은 좀더 저개발 국가로 공장을 이전하며 여전히 이윤을 창출하고 있는 반면, 여기 고용된 노동자들은 저임금,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방글라데시 의류 노동자의 대부분(85%)은 여성으로 하루 10~14시간, 적절한 휴식도 취하지 못한 채, 문이 잠긴 공장 안에서1) 세계 최저 임금을 받으며 일하고 있다. 2010년에 인상된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해도 방글라데시 의류 노동자들의 임금은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이다 (표1 참조).

표 1. 26개국 의류노동자의 시간당 임금2)

번호

국가

시간당 임금

(미화)

시간당 임금

(원)

번호

국가

시간당 임금

(미화)

시간당 임금

(원)

1

미국

8.25-14

9,199-15,610

14

니카라과

0.65

725

2

영국

7.58-9.11

8,452-10,158

15

바레인

0.57

636

3

베네수엘라

2.73

3,044

16

태국

0.56

624

4

코스타리카

2.19

2,442

17

인도

0.55-0.68

613-758

5

과테말라

1.21

1,349

18

모리셔스

0.55-0.65

613-725

6

콜럼비아

1.2

1,338

19

베트남

0.52

580

7

온두라스

1.02

1,137

20

이집트

0.5-0.87

558-970

8

필리핀

0.94-1

1,048-1,115

21

멕시코

0.5-0.53

558-591

9

중국

0.93

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