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1일 국가인권위에서 <다산콜센터 민간위탁 운영실태 및 직접고용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과> 가 열렸습니다.
서울시는 다산콜센터를 대표적 민원서비스로 홍보하지만 다산콜센터 상담원들은 위탁업체가 운영하는 비정규직입니다. 11월 5~6일 서울지방노동청이 다산콜센터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하여 연장근로수당, 근로계약서, 건강진단 등 기본 노동관계법을 위반하고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21일 토론회는 500여명의 다산콜센터 노동자를 서울시가 직접고용하여 노동기본권과 건강권을 보호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것을 촉구하였습니다.
노동건강연대 김명희 회원은 ‘감정노동자 노동건강권과 직접고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발표하여 큰 박수를 받았습니다. 서울시가 성과물은 취하고 비용은 외부화하면서 노동자의 건강불평등을 심화하는 것은 공공기관의 윤리와 맞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료집을 참조
관련 글
- [2017/04/28] 세계 산재사망노동자 추모의 날 - '우리의 일은 무모한 도전이 아니다, 삶이다' (3456)
- [2017/03/06] [강좌]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_ 마감완료 (3773)
- [2016/05/19] [경인방송] 위험의 외주화 : 파견, 하청 노동자 위험, 누구의 책임인가? (3199)
- [2016/05/09] 현대차 불법 40년 : 범죄의 거리 - 유성기업 고 한광호 열사 농성장 거리 진료 (3865)
- [2016/02/05] [성명] 20대 청년 노동자들의 눈멀음 사고로 박근혜 대통령이 깨달아야 할 것 (14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