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2013 실태조사에 비친 노동자의 오늘

 

재활? 다시 일어서기? 산재노동자를 찾아서

 

전수경 / 노동건강연대 상근활동가

 


노동건강연대는 2013년, 산재노동자의 재활현황과 요구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산재를 입고 현재 치료 중인 노동자에게는 산재보험운영기관인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재활에 대한 정보와 요구가 소통되고 있는지를 물었고, 산재치료가 끝난 노동자에게는 생활실태와 경제적 어려움 등을 물었습니다. 양쪽의 노동자 모두에게 심리적 건강상태에 대해서도 질문하였습니다.


산재노동자들은 흩어져 있고 드러나있지 않아서 조사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설문부수가 아주 작은 숫자입니다.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냐고 묻는 분들도 있겠지만, 산재노동자로 살아가는 분들이 산재노동자로서 정체성을 갖고 설문에 응해주셨고 정부의 재활정책이 껍데기만 있는 현실의 단면을 드러내주셨다고 봅니다. / 편집자

 

 

1. 요양 중인 산재노동자의 재활요구도

 

1) 개인특성

20137~ 9, 산재노동자의 재활요구도 설문조사에 응답한 산재요양 중인 노동자는 총 61명이다. 설문지의 내용으로는 개인적인 정보, 본인이 경험한 산재보험 서비스, 정신·심리상태평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평가 등이 포함되어있다. 설문 참여자는 남성이 대부분이었고, 산재를 입은지 3년 정도 되었으며, 나이는 50, 기혼자가 많았다.

 

2) 경제적 상황과 걱정되는 문제에 대한 질문

산재를 입은지 3년 정도 되며 산재 전·후 월평균 소득은 각각 235.8만원과 184.9만원으로 산재 이후 월평균 소득이 감소하였다. 산재 전·후 가계부채는 각각 2,388만원과 2,604만원으로 산재 이후 가계부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재를 입은 후 가장 걱정되는 문제로 28(45.9%)가족의 생계와 경제적 문제를 꼽았고, ‘가족관계, 사회적 인간관계가 해체될까 두렵다는 응답자가 16(26.2%)으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산재를 입고 현재까지 치료받은 기간은 평균 19.3개월이었다.

산재를 입기 전에 다니던 직장에 현재로 소속되어 있는지 묻는 질문에 그만두었다고 응답자가 33(57.9%)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소속되어 있다는 응답자는 13(22.8%)이었으며, ‘해고당했다는 응답자도 4(7.0%)있었다.

 

3) 본인부담 의료비에 대한 질문

산재치료 중 개인이 따로 지불하는 의료비가 있는지 묻는 설문에 산재 요양비 이외의 본인부담이 있어서 내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38(76.0%)으로 가장 많았다. 본인부담 의료비가 있는 산재노동자를 대상으로 어느 정도 부담을 느끼는지 묻는 설문에 많다고 답한 산재노동자는 18(43.9%)이었고, ‘적다고 답변한 수는 8(19.5%) 이었다. 산재보험으로 치료를 받는 중에도 의료비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재활에 대한 질문

치료과정에서 심리 상담을 받은 적이 있느냐는 설문에 35(63.6%)있다고 응답하였다. 근로복지공단 직원으로부터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안내를 받은 적이 있느냐는 설문에 31(56.4%)간략하게 설명을 들었다고 응답하였고, ‘듣지 못했다는 응답자도 14(25.4%)이 있었다. ‘충분한 설명을 들었다고 답변한 산재노동자는 10(18.2%)에 불과하였다.

현재 가장 필요하다 생각하는 재활서비스에 대한 설문에 통증관리와 심리 상담 등 신체적, 정신적 안정을 위한 의료재활을 꼽은 응답자가 23(41.1%)으로 가장 많았으며, ‘화장실 사용, 이동 등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재활을 꼽은 응답자가 12(21.4%)으로 다음으로 많았다.

재활치료를 선택하려고 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 묻는 설문에 내게 맞는 재활프로그램이 없다는 응답자가 17(32.1%)으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시설이 너무 멀어 가기가 어렵다는 응답자가 14(26.4%)으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3) 간이정신심리진단검사(SCL-90-R)

간이정신심리진단검사 결과 산재요양중인 산재노동자에서 정신심리검사의 전체 영역별 평균은 일반인 평균보다 모든 영역에서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재요양중인 산재노동자들의 간이정신심리검사 위험군은 16(27.6%)으로 나타나 일반인(2.5%)과 비교하여 훨씬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위험군을 찾는 참고할 만한 기준으로 세부영역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