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노동과 건강 PDF 원문보기 메탄올 노동자 6명 사회복지 분투기.pdf
메탄올 노동자 6명 사회복지 분투기
정우준 / 노동건강연대
이 글은 제목에서 보이듯 메탄올 노동자 6명의 ‘사회복지’ 분투기이다. 노동과 건강에 사회복지라니 다소 생뚱맞을 수도 있다. 하지만 메탄올 피해 노동자 6명이 재해 이후 새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신체·심리·사회 재활이 필수적이다. 이 글은 바로 집과 병원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삶을 살기 위한 노동자 6명의 노력에 대한 관찰기록이다. 관찰기록이 ‘분투기’일 수밖에 없었던 것은 메탄올 중독에 책임 있는 어떤 기관의 도움도 받지 못해 좌충우돌 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올해 9월, 노동건강연대에서 맡은 첫 업무는 메탄올로 인해 시각을 잃은 노동자 6명이 재해 이후 새로운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찾는 일이었다. 메탄올로 인한 시력 손상은 메탄올 피해 노동자들의 신체만이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엄청난 변화를 만들었다. 늘 다니던 길을 더 이상 다닐 수 없었고, 분신과도 같은 핸드폰도 사용하기 어려워졌다. 돌봐 줄 가족이 애초에 없거나 부재중일 때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이 매우 적어진 것이다. 한순간에 시각을 손실하고, 보이지 않는 눈으로 인해 시각장애에 대한 정보조차 부재했다. 하지만 메탄올 중독 사건이 일어난 지 적게는 1년 반, 길게는 2년 반이 될 때까지 누구도 그들에게 시각장애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지 않았다. 산재 노동자의 재활서비스를 담당하는 근로복지공단은 시각장애인에 대한 프로그램이 없다는 이유로 그들에게 전화 한 통도 하지 않고 있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나는 메탄올 피해 노동자 6명과 함께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것들을 직접 찾아보고 필요한 것이 있다면 해보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다음 스토리 펀딩 기금’이 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쉽지는 않았다. 6명 모두 살고 있는 곳이 달랐고, 몸 상태와 현재 처한 처지도 달랐다. 기관을 찾는 것도, 필요한 서비스와 기기를 사는 것도 품이 6배로 더 들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이 글은 메탄올 노동자 6명이 재해 이후 막 사회로 첫 발을 내딛기 시작한 모습을 담고 있다.
노동자에서 장애인이 된 이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
A와 B의 여정
메탄올 노동자 6명 중 제일 먼저 A와 B에게 연락한 것은 두 사람 다 부천에 살고 있다는 점이 매우 컸다. 물론 A는 한쪽 눈이 어렴풋이 보이고, B는 전혀 볼 수 없다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필요한 것도 당연히 달랐다. A의 경우 핸드폰 화면을 크게 확대해 사용할 수 있었다. 또 주변에 친구들이 많아 재해 이후에도 여행도 다니고 볼링도 치러 다니는 등 바깥 활동도 자주 하고 있었다. 다양한 활동을 이미 하고 있었기 때문에 A에게 제일 필요로 했던 것은 직업과 관련된 훈련이었다. A는 바리스타가 되고 싶다고 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이 주로 안마사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적성에 맞지 않는다며 직업 훈련을 포기하고 친구들과의 약속 이외에는 주로 집에서만 활동하고 있었다.
B의 경우는 눈이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생활하는 모든 것에서 문제가 생겼다. 당장 밥 먹는 것부터 이동하는 것까지 한순간에 시각을 잃었기 때문에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다행히 어머니가 함께 살고 있어 생활에 있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어머니의 말씀처럼 언제까지 B가 어머니의 도움을 받으며 살 수는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B의 어머니와 B는 시각장애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본적인 교육–보행훈련, 핸드폰·컴퓨터 사용–과 점자 교육을 받기를 원했다.
A와 B와의 전화 통화 등을 통해 둘에게 필요한 것과 하고 싶은 것을 들은 후 본격적으로 재활 기관과 필요한 기기 등을 알아보기 시작했다. 부천시가 정보를 알아보기 시작한 첫 지역인 탓에 맨땅에 헤딩일 수밖에 없었다. 근로복지공단은 산재를 입은 시각장애인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제공해줄 서비스가 없다며 부천지역 복지관 몇 군데의 전화번호만을 전해줬다.
나는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장애인야학에서 오랫동안 교사를 했지만 주로 지체장애인과 정신적 장애인에만 익숙했지 시각장애인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다. 결국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 한 곳, 두 곳 전화를 통해 알아볼 수밖에 없었다. 보건복지부, 경기도, 부천시청, 한국산재장애인연합회,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부천에 위치한 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등 인터넷 검색을 통해 관련이 있어 보이는 모든 기관에 전화를 돌렸다.
전화를 돌리는 과정은 매우 지난했다. 대부분은 자신의 기관은 시각장애 및 산업재해와 관계가 없으니 다른 적합한 기관에 전화를 하라고 이야기했고, 관련 서비스를 가지고 있는 곳은 본인이 직접 찾아와 봐야 알 수 있다거나 두꺼운 책자 하나를 보내주고는 말았다. 심한 경우는 소속을 밝히고 정보를 묻자 ‘너네가 뭔데 이런걸 물어보냐’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이런 좌충우돌에도 A와 B는 6명 중 가장 먼저 필요한 재활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 이유는 부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도서관인 해밀도서관>이 있었기 때문이다. 해밀도서관>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책, 배리어프리영화 등을 제작, 대여해주고 다양한 시각장애인용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또 1층에 부천 시각장애인연합회가 있어 시각장애인에 대한 동아리나 활동 정보를 전해들을 수도 있었다. 현재 A와 B는 주 2회씩 해밀도서관>에서 점자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또 B의 경우 보행교육과 핸드폰 사용 교육 등을 받고 있다. 시각장애의 특성상 노령으로 인한 시각장애 많은 편인데 두 분 모두 젊고 건강하기 때문에 그 곳의 볼링동아리 조정동아리 에서 둘을 영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A와 B의 경우 집 근처에 점자 도서관이 있어 통합적인 재활을 받는 아주 좋은 케이스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A의 경우 바리스타 교육 등을 받길 원하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직업교육은 매우 제한적이다. B의 경우 당장 혼자 걷는 것부터 시각장애인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방법까지 배울 것이 너무나도 많다. 또 필요한 물품 역시 많다. B의 경우 시각장애인 사용하기 가장 쉬운 스마트폰인 아이폰을 다음 스토리 펀딩 기금으로 구매했지만 여전히 컴퓨터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장애인용 프로그램(화면해설, 화면확대이 필요하다. 영신 역시 마찬가지이다.
또 여전히 알아야할 정보가 많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콜택시 이용법,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복지혜택 등. 살아가면서 알아야 여러 가지 것들을 배우고 국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신청하는 일들을 해나가야 한다.
C 의 경우
C는 아버지를 산재 사고로 일찍 떠나보내고 어렸을 때부터 동생과 함께 살며, 많은 일을 했다. 현재에도 동생과 함께 인천에 거주하고 있지만 동생이 회사 때문에 늘 바쁘다. C 역시 눈이 전부 다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동생이 사다놓은 반찬 등으로 식사를 해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