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펀딩 참여하기

책 소개 우리는 날마다 일을 하며 살아갑니다. 내가 하는 일로 월급을 받고 생계를 꾸려나갑니다. 하는 일이 잘될 때면 뿌듯함과 자부심을 느끼고, 잘되지 않을 땐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지 노력하고 애쓰며 하루하루 살아갑니다. 그런데, 일을 하다 아프면 어떻게 될까요? 잠깐 일을 쉬고 다친 몸을 추스를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오랜 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다시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다치면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우리는 너무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일을 하다 다치면 이 모든 것을 온전히 개인이 책임지고 감당해야 할까요? 일을 시킨 회사에는 책임이 없을까요?

이거 ‘산재’ 아냐? 그런데 ‘산재’가 뭐야?
지금까지 우리가 제대로 이야기해 본 적 없는 ‘산업재해’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이거 산재 아냐?’ 농담처럼 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이거 산재야’라고요. 출퇴근 길에 발목을 삐는 사고도, 급식 조리실에서 뜨거운 국물을 쏟아 화상을 입는 사고도, 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야 해서 화장실을 마음대로 갈 수 없어 걸린 방광염도 모두 산업재해라는 것을요. 건설현장에서 추락하거나 중공업 기계에 끼인 노동자들의 사망도요.
이 책에는 산업재해가 무엇인지, 그리고 산재보상은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필요한 서류와 절차, 과정들을 한 권에 담았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 사회는 일하다 다치더라도 산재보상을 신청하는 비율이 10명 중 3명 정도입니다. 왜 산재 신청을 하지 않을까요? 산재보상 신청에는 아픈 노동자들이 챙겨야 할 수많은 서류와 절차들이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그 어려운 과정을 하나하나 따라가 보겠습니다. 그러면 산재보상 제도를 어떻게 바꾸어 나가야 할지 이야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건강하게, 아프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하여
다시 한 번 질문을 던집니다. 50년 전 전태일 열사가 자기 몸에 불을 지르며 근로기준법을 지키라고 소리쳤지만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은 전태일이 살던 세상보다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근로계약서를 쓰고, 노동 시간을 준수하고, 휴일에 쉴 수 있게 하는 것에서 나아가 우리는 아프지 않고 일할 권리, 죽지 않고 일할 권리를 이야기해야 합니다. 우리 이제 일을 하다 다쳤더라도, 병에 걸렸더라도, 건강하게 몸을 추스리고 다시 일터로 돌아갈 수 있는 권리를 이야기합시다.

 

저자의 말 ‘이 책을 읽을 독자는 누구일까?’
이제 노동자가 될 청소년으로 뒀다가, 산재보험을 담당하는 기관이 근로복지공단이라는 것을 들어본 적도 없을 알바 노동자들에게 뒀다가, 그냥 일하는 모든 사람들로 하자고도 했다가, 이야기는 돌고 돌았다.
다친 다리에 깁스를 한 채 병실 침대에 누워서 스마트폰으로 산재 정보를 모으던 배달 노동자가 떠올랐고, 퇴근길마다 한의원에 가서 침을 맞아야 다음 날 출근할 수 있다던 돌봄 노동자도 떠올랐다. 택배 상자를 들어 올리다 어깨에 불이 붙는 것처럼 아팠다던 택배 기사, 스무 해를 호텔 객실 청소를 하다가 손가락 마디가 다 굽어서 산재 신청을 하고 싶었으나,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겁이 난다던 청소 노동자도 떠올랐다. 주말에만 알바처럼 나가는 공사 현장에서 추락해 온몸에 부상을 입은 노동자는 또 어떠한가.‘이 책은 누구 손에 들려야 할까?’
일하는 모든 사람이 아플 때 손쉽게 열어 볼 수 있으면 좋겠다. 인터넷 구직 사이트를 검색하는 이들, 방학이면 공장 알바를 나가는 청년, 오랜 노동으로 몸에 인이 박힌 중년 노동자가 읽을 수 있으면 좋겠다. 학교 도서관, 공공 도서관에도 꽂혀 있으면 좋겠다. 그냥 이 글을 읽는 당신이 친구에게, 동료에게 언제 요긴할지 모를 ‘꿀팁’이라며 한 권 건네주시길. 그리고 부디 이 책이 필요하지 않도록 건강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