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프메뉴

  • 노동건강연대
  • English
  • mobile
  • 로그인
  • 노동건강연대는?

노동건강연대

헤더 링크

  • 구독
  • 회원가입

주메뉴

  • 찾아보기

  • Home
  • 주요활동
  • 칼럼
  • 자료실
  • 계간 노동과건강
  • 노동건강연대는?
    • 창립선언문
    • 주요사업
    • 우리가 가는 길
    • 회원가입
    • 오시는길
전체 글 갯수
156
태그 목록
  • 게시판
  • 블로그
  • 웹진
  • 갤러리

한겨레] '촛불 특수'와 파견 노동자 / 전수경

  • 날짜
    2018.06.14 11:50:01
  • 작성자
    노동건강연대
  • 조회 수
    958
  • 주소
    http://laborhealth.or.kr/44407
이 글은 6월 9일 한겨레 신문에 실린 시론입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48304.html

00502669_20180608.JPG 
전수경
노동건강연대 활동가


지난 4월 대학교 4곳을 다니며 학생들을 만났고 2곳의 노동조합 교육에 초대받아 다녀왔다. 2016년에 큰 충격을 주었던 20대 청년노동자들의 메탄올 급성중독과 실명 사건을 기억하실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를 책으로 펴낸 출판사는 <실명의 이유>라는 제목을 붙였다.

남북관계 급변의 흥분 속에 저 우울한 제목의 책은 몇 군데의 서평란에 짧게 실린 후 잊혀 갈 것이라 예상되었다. 저자와 나는 실망했다. 대학생들로부터 북토크를 하고 싶다는 소식이 오기 전까지는. 다른 학교, 다른 전공의 학생들이 1~2주 간격으로 연락을 해 왔다.

질문지를 보내 오고, 곳곳에 플래카드를 걸고, 가는 학교마다 일처리도 야무졌다. 4월 초의 캠퍼스는 벚꽃이 가득하고, 4월 말의 캠퍼스는 초록이 생생했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눈빛이, 책마다 줄을 긋고 포스트잇을 붙여 와서 질문하는 정성이 감동이었다. ‘우리가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마지막 질문은 늘 같았다. 나 역시 학생들에게 물었다. ‘벚꽃이 이렇게 예쁜데 이 재미없는 이야기를 들으러 온 이유가 무엇인가요?’

뒤풀이를 하러 가는 길 답이 왔다. “촛불 특수 같아요.” 촛불 이후 학생들은 사회문제에 더 관심이 많아졌고, 파견노동 같은 마이너(?)한 주제도 인기가 많다고 한다. 어쩐지 18학번 신입생이 많더라.

인천에서 여성 노동자들을 만나기 전까지는 희망찬 기분을 즐겼던 것 같다. 십여명의 여성 노동자가 오순도순 앉아 있는데 오랜만에 만난 듯 수다가 많다.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전문가들 앞에서 파견 노동자의 실명사건을 이야기하고 있자니 멋쩍었다.

“메탄올을 3차 하청만 썼다고요? 우리는 1차 하청인데도 쓰고 있었어.” 실명 사건으로 공단이 술렁일 때 라인은 계속 돌아가고, 교육을 한다고 의사가 들어왔다고 한다. ‘여러분이 직업병에 걸릴 확률은 버스정류장에 서 있다가 매연으로 암에 걸릴 확률만큼 낮습니다.’ 의사가 말했다. 질문 있으면 하라는 의사의 말에 노동자들은 입을 다물었다고 한다.

어느 날 라인을 따라 종이가 돌았다. 조장은 다니면서 서명을 하라고 재촉했다. “라인 돌아가니까 제목도 안 보이는데 사인을 한 거야.” 종이는 안전교육 확인 서류였다. “야, 내 밑으로 다 사인하지 마.” 서류를 본 고참 언니가 소리 질렀다.

3개월마다 계약서를 새로 쓰는 날, 그 라인의 노동자들은 뚜렷한 이유 없이 재계약을 거부당했다. 오래 다닌 공장이었다. 여성 노동자들은 새로운 인력업체를 찾아 흩어지고, 공장이 서로 달라졌다. 그 노동자들이 한 달에 한 번 모이는 사연이었다.

최저임금 계산법이 어지러운 지금, ‘촛불 특수’는 왜 평등하게 도달하지 못하는가. 사회 모순에 관심을 갖는 학생들이 만들어내는 대학 캠퍼스의 활기가 공장의 저임금 노동자, 파견 노동자들에게는 언제 도착하는 것인가.

상여금은 25%, 복리후생비는 7% 초과분이 최저임금에 들어간다고? 사회단체에서 일하다가 정보통신기술(IT) 업계로 전직한 이를 알고 있다. 임금이 하도 복잡해서 이해를 포기했다면서 인력파견 업체가 주는 대로 받는다고 한다. 그 덕분인가, 사회보험료 내고 있다는 업체 말을 믿고 있다가 연체통지서가 날아왔다. 눈 뜨고도 사기당하는 한국의 임금체계를 개혁하지는 못할망정 거기에 한 숟가락을 얹은 촛불 의회라니 안 믿긴다.

실명 사건을 정부가 왜 막지 못했는가 물어온 학생에게 근로감독관의 과로를 걱정하는 답을 하는 게 아니었다.

이 게시물을...
  • 파일 순서: 
    1/1
    파일 이름: 
    00502669_20180608.JPG
    (파일 크기: 
    8.3KB, 
    다운로드 횟수: 
    26)
  • 목록 보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40
유보된 정의를 회복하면 안전해진다-조사가 아닌 ... file
노동건강연대
2019-02-07
45690
진짜 '김용균법'은 아직 멀었다[프레시안_19.01.07...
노동건강연대
2019-01-09
45686
고 김용균 씨가 남긴 질문...해답 찾아야[건치신... file
노동건강연대
2019-01-09
45579
2018년 11월, 이달의 기업살인 현황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2-04
45538
『그 기업 그 사고』2016년 4월 18일, 현대중공업...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1-26
45448
『그 기업 그 사고』 2013년 1월 28일, 삼성전자...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1-13
45433
2018년 10월, 이달의 기업살인 현황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1-07
45265
『그 기업 그 사고』 2015년 9월 2일, 현대중공...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0-29
45210
『그 기업 그 사고』 2014년 11월 27일, 현대중...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0-24
45194
『그 기업 그 사고』 2014년 10월 23일, 현대중...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0-19
45167
『그 기업 그 사고』 2014년 4월 7일, 현대미포...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0-08
45109
2018년 9월, 이달의 기업살인 현황 file
노동건강연대
2018-10-04
44973
『그 기업 그 사고』 2014년 한 달간 현대중공업... file
노동건강연대
2018-09-28
44939
2018년 8월, 이달의 기업살인 현황 file
노동건강연대
2018-09-03
44928
『그 기업 그 사고』 2016년 “구의역 스크린도어... file
노동건강연대
2018-09-03
44872
[오마이뉴스 기고] 국화 한 송이 없는 공장, ...
노동건강연대
2018-08-28
44424
오마이뉴스]극독성 물질을 바가지로... 23살 노동... file
노동건강연대
2018-06-22
44422
“‘위험의 외주화’가 23살 청년을 죽음으로 몰아...
노동건강연대
2018-06-21
-
한겨레] '촛불 특수'와 파견 노동자 / 전수경 file
노동건강연대
2018-06-14
44090
노동자가 시각을 잃었을 때 벌어지는 일 file
노동건강연대
2018-03-20
  • 목록 보기
  • 쓰기
  • 첫 페이지
  • 1
  • 2
  • 3
  • 4
  • 5
  • 6
  • 7
  • 8
  • 끝 페이지
Board Search
검색
취소

사이드바 위젯

  • 배너

    • 메탄올 백서
      • 알쓸노건
    • 열개의 진료실 가이드
  • 이슈 태그

    • 간접고용
    • 건강권
    • 기업살인
    • 노동자건강
    • 비정규직
    • 사내하청
    • 산재보험
    • 산재사망
    • 영세사업장
    • 원청
    • 특수고용

추가된 사이드바 위젯

      • 노동과건강
        표지
        노동과 건강 2018 여름 통권 95호
        노동과 건강 2018 여름 통권 95호

부메뉴

  • ▲ 맨 위로
  • (구)상담실
  • (구)열린마당

풋터 위젯

  • 시스템 :: 풋터에 적용되는 내용(주소, 전화번호 등)




      

    노동건강연대로고.jpg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상상청(9동) 303호 (03371) 

                                     phone.png 02-469-3976 mail.png laborhealthh@hanmail.net

    No Copyright, just CopyLeft!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한 게시물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wered by XE hosted by Jinb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