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출신인 크로낭 씨의 남편 아웅리 씨가 얼마 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경기도의 한 자동차공장에서 휴게시간에 잠들었다가 영영 깨어나지 못했다그는 본국에 있을 때 축구를 잘해 마을대표로 출전하기도 했을 만큼 건강했다미얀마에서 소수종교인 무슬림이었던 그는 술과 담배도 멀리 했다주야 맞교대 근무를 하던 그는 납품회사가 파업을 마치자밀렸던 주문량이 폭주하면서 주말에도 15시간씩 야간특근을 했다건강한 30대였던 남편은 어린 딸아이를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그녀는 남편이 특수건강진단 대상자였다는 사실을 여전히 모르고그녀의 남편도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적이 없다.

캄보디아에서 온 나비 씨는 충남의 양계농장에서 일을 하다 다쳤다양계장에서 사다리에 올라가 작업을 하다가 사다리 다리가 풀리면서 그녀는 7미터 아래로 떨어져 발뒤꿈치 뼈가 분쇄 골절되었다다행히 나비 씨가 일하던 농장은 직원이 5명 이상이라 산재보험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골절된 뼈를 맞추고 핀을 박고 수술을 했다걸을 때마다 뒤꿈치에 심한 통증이 발생하지만 다시 걸을 수 있게 되었고치료기간 동안 산재보험에서 월급(휴업급여)도 거의 이전과 동일하게 받을 수 있었다그녀는 정말 운이 좋은 편이다농장에 직원이 한두 명만 부족했어도 그녀는 산재보험을 받을 수 없고농장주를 통해서 치료와 보상을 받아야 했다산재보험 적용 사업장이 아니면 농장주에게 병원비와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말해주자 그녀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걸을 때마다 뒤꿈치에서 올라오는 찌릿찌릿한 통증은 농장주에게 전달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녀가 일하던 농장이 산재 치료를 받는 도중에 폐업했고직원들은 다른 농장으로 흩어졌다그녀는 회사가 폐업한 뒤 감기에 걸려 병원에 갔다가 10만원 가까운 돈을 병원비로 내야했다회사가 폐업하면서 건강보험 자격이 상실된 것이다다른 회사에 들어가 건강보험이 다시 적용되기 전까지 그녀는 병원에 가지 않을 참이다.

▪ 법은 있으나 산업안전보건법의 실질적인 보호를 받지 못해

매년 약 100명에 가까운 이주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하고 있다제조업과 건설업 종사자가 대다수이다.

 

표 1. 이주노동자 산재사망자 현황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총계

사망자수

106

88

85

103

88

470

재해건수

6,390

5,556

6,014

6,419

6,703

31,082

제조업

54

45

39

41

38

217

건설업

37

31

35

53

40

196

출처: 고용노동부 · 안전보건공단

 

국내의 산업안전보건법과 산재보험법에는 이주노동자를 차별하거나 불리하게 적용하는 조항이 없다노동관계법에서 국적에 따른 차별을 허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다보니 일부 사업주들은 외국인 노동자와 내국인 노동자 간에 최저임금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기하기도 한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외국인에 대한 별도규정은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외국인노동자를 고용한 사업주는 외국어로 된 안전·보건표지와 안전수칙을 부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는 12조 규정뿐이다나머지 규정은 내국인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평등 대우는 법문서 안에서만 존재한다이주노동자와 영세사업장 노동자들은 실질적인 소외와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이주노동자들은 주로 내국인이 기피하는 업종에서 유해․위험작업을 수행하고장시간 노동 등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특수건강검진이나 작업환경측정 등 사업주가 노동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하여 시행해야 할 제도들이 영세사업장에서는 사업주의 무지와 비용 문제 등의 이유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그러다보니 주로 이러한 영세사업장즉 인력난이 심한 제조업건설업농업 분야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실질적으로 산업안전보건법의 보호에서 소외되고 배제되고 있다.

두 명의 네팔 출신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던 2017년 5월 군위군 양돈농장사건의 경우에도사업주가 기본적인 안전보건교육을 시행하고송기마스크 등 보호구만 제대로 제공했어도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 소규모 농업에 종사하는 이주노동자는 산재보험의 보호조차 못 받아

소규모 농축산업에 고용된 이주노동자는 열악한 주거환경과 성폭력 같은 인권침해에 노출되어 있을 뿐 아니라 많은 경우 산재보험의 보호에서도 제외되어 있다.

정부는 노동자의 건강권 보호를 위해 산재보험의 적용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농업에 종사하는 상당수 노동자는 여전히 제외 대상이다정부는 7월 1일부터 소규모사업장에 대한 산재보험 적용을 확대하면서

① 상시근로자 1인 미만의 사업,

② 건설면허업자가 실시하는 건설공사가 아닌 소규모 공사를 의무가입대상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이주노동자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5인 미만의 농축산어업은 여전히 산재보험 적용 제외 사업장이다농어촌 지역에는 고령화와 인력난이 겹치면서 약 2만 3천 명의 이주노동자들이 농축산업에 고용되어 있다올해에만 약 7천 명의 이주노동자가 고용될 전망이다.

그러나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이주노동자의 상당수는 법인이 아닌 5인 미만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어 합법적으로 산재보험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 산재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근로기준법 상의 재해보상(치료 및 재활휴업보상장해보상 등)을 사업주 개인(농업인)에게 받아야 한다는 뜻이다이는 산재보험이 없던 시절병원비와 보상을 영세한 사업주에게만 의존하던 당시의 대립과 혼란이 오늘날 한국의 농어촌에서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는 뜻이다사회보험 방식의 산재보험이 없다보니 사업주의 치료방해업무복귀종용휴업보상 미지급보상지연보상거부가 비일비재하다사업장을 무단이탈하면 갈 곳이 없기 때문에 이주노동자는 법적 기준에 못 미치는 보상이라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주 노동자의 산업안전보건과 관련해서 제일 자주 언급되는 대책은 산업안전교육의 강화다. 자국어로 된 교육교재를 보급하고 안전표지판을 설치하자는 말이다이는 당연히 필요한 부분이다그러나 이주노동자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중요한 것은 황화수소와 시안화수소를 막을 수 있는 개인 보호장구사업주 눈치 안 보고 돈 걱정 없이 치료받을 수 있는 산재보험의 적용열악한 노동환경에 문제 제기하는 것을 가로막는 고용허가제의 철폐이다